마르쿠스 그뢴홀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핀란드 출신의 랠리 드라이버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서 2000년과 2002년에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WRC 통산 30회 우승을 달성했다. 2008년에는 유럽 랠리크로스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스웨덴에서 우승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글로벌 랠리크로스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2011년 종합 2위, 2012년 종합 7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키미 래이쾨넨
키미 래이쾨넨은 2007년 F1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아이스맨"이라는 별명을 가진 핀란드 출신의 전직 F1 드라이버로, 카트 레이싱을 시작으로 F1 자우버 팀 데뷔, 맥라렌과 페라리에서 활동, WRC 참가, 로터스 복귀 및 알파로메오에서 은퇴 후 NASCAR 컵 시리즈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경력을 쌓았다.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마르쿠 알렌
마르쿠 알렌은 1970~80년대에 활동한 핀란드의 랠리 드라이버로, 1969년 데뷔하여 WRC에서 통산 19번 우승했으며, 피아트, 란치아, 스바루, 토요타 등 다양한 팀에서 활동했다. - WRC 드라이버 - 세바스티앵 오지에
세바스티앵 오지에는 8회 월드 랠리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해 57회 WRC 랠리 우승을 기록한 프랑스 랠리 드라이버로, 여러 팀에서 활동하며 WRC 정상급 드라이버로 자리매김하여 2024년 시즌 이후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WRC 드라이버 - 오트 태나크
오트 태나크는 에스토니아의 랠리 드라이버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에서 2019년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해 총 21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 -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은 핀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독립에 기여하고 섭정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을 이끌었으며 핀란드 원수 칭호를 받았다. -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 - 페테르 프란센
핀란드의 배우, 작가, 영화 감독인 페테르 프란센은 50편 이상의 작품에 출연하며 유시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드라마 《바이킹》의 하랄 하르드라다 역과 영화 《어두운 물 위에서》 연출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마르쿠스 그뢴홀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쿠스 그뢴홀름 |
출생일 | 1968년 2월 5일 |
출생지 | 카우니아ainen |
국적 | 핀란드 |
선수 경력 | |
활동 연도 | 1989–2007, 2009–2010, 2019 |
코 드라이버 | Ilkka Riipinen 티모 라우티아이넨 Juha Repo Voitto Silander |
팀 | 토요타, 푸조, 포드 |
출전 횟수 | 153 |
챔피언십 우승 횟수 | 2 (2000, 2002) |
우승 횟수 | 30 |
포디움 | 61 |
스테이지 우승 | 542 |
획득 포인트 | 615 |
첫 출전 | 1989 1000 Lakes Rally |
첫 우승 | 2000 Swedish Rally |
마지막 우승 | 2007 Rally New Zealand |
마지막 출전 | 2019 Rally Sweden |
기타 랠리 경력 | |
마지막 시리즈 | Global RallyCross Championship |
활동 연도 | 2011–2012 |
차량 번호 | 3 |
이전 팀 | Olsbergs MSE |
최고 성적 | 2위 |
연도 | 2011 |
시작 횟수 | 8 |
우승 횟수 | 5 |
포디움 횟수 | 8 |
유러피언 랠리크로스 챔피언십 | |
마지막 시리즈 | FIA ERX Division 1 Championship |
활동 연도 | 2008 |
이전 팀 | Ford Team RS Europe |
최고 성적 | 16위 |
연도 | 2008 |
시작 횟수 | 3 |
우승 횟수 | 1 |
포디움 횟수 | 1 |
2. 경력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랠리 드라이버였던 아버지 울프 그뢴홀름의 영향으로 랠리에 입문했다. 어린 시절 모토크로스 선수로 활동했지만, 무릎 부상으로 복싱을 거쳐 랠리로 전향했다.[2] 1987년 랠리 경력을 시작하여, 1990년 고향 1000호수 랠리에 토요타 워크스 팀의 토요타 셀리카 (ST165)로 출전하며 토요타와 인연을 맺었다.[2] 이후 토요타 계열 팀에서 활동하며 핀란드 국내 선수권에서 아래와 같이 챔피언을 차지했다.
연도 | 타이틀 | 차량 |
---|---|---|
1991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4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6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7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8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코롤라 WRC |
1999년, 푸조와 계약하여 푸조 206 WRC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 참가, 2000년과 2002년에 WRC 챔피언이 되었다. 2000년 스웨덴 랠리에서 첫 승을 거둔 후, 2002년에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2년에는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에서 우승, ''앙리 토이보넨 기념 트로피''를 받았다.[7]
2003년부터 푸조 307 WRC로 차량을 변경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2004년 터키 랠리에서는 조수 티모 라우티아이넨이 좌석을 관통한 강철 파편에 맞아 부상을 입기도 했다.[4][5] 2005년 시즌을 끝으로 푸조가 WRC에서 철수하면서, 그뢴홀름은 포드로 이적했다.
2006년 시즌 개막 2연승을 거두었으나, 로브와 치열한 경쟁 끝에 1점 차로 종합 2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팀 동료 미코 히르보넨과 함께 포드의 27년 만의 제조사 타이틀 획득에 기여했다. 2007년은 은퇴 시즌으로, 로브와 더욱 치열하게 경쟁했으나, 뉴질랜드 랠리에서 0.3초 차로 로브를 꺾는 명승부에도 불구, 시즌 막판까지 이어진 챔피언 경쟁에서 4점 차로 로브에게 드라이버 챔피언 자리를 내주고 2위로 은퇴했다.
WRC 은퇴 이후, 2008년 유럽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ERC)에서 포드 피에스타 ST로 5위를 차지했고,[13] 2009년부터 글로벌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GRC)에 참가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미국 GRC에서 태너 파우스트와 함께 포드 피에스타 Mk7로 출전, 엑스 게임즈 17과 18에도 참가했다.
2009년 프로드라이브의 스바루 차량으로 랠리 포르투갈에 스폿 참전하며 WRC에 복귀했고,[13] 2019년에는 50세 생일을 기념하여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의 지원을 받아 토요타 야리스 WRC로 스웨덴 랠리에 일회성으로 참가했다.[1] 2014년 8월에는 폭스바겐의 폭스바겐 폴로 테스트 드라이버로 계약했다.
2. 1. 초기 경력
마르쿠스 그뢴홀름의 아버지 울프 그뢴홀름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핀란드 랠리 챔피언을 두 번이나 차지할 정도로 성공적인 랠리 드라이버였다. 그러나 울프는 1981년 연습 주행 중 사고로 사망했다.[2] 아버지의 영향으로 랠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어린 시절에는 모토크로스 선수로 활동했다. 하지만 심각한 무릎 부상으로 인해 복싱으로 전향했다가 결국 랠리로 전향하게 되었다.1990년대 동안 그뢴홀름은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서 토요타 소속으로 셀리카와 코롤라 WRC를 몰며 두각을 나타냈다. 랠리 핀란드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포드, 토요타, 푸조 등 여러 팀의 주목을 받았다.
2. 1. 1. 토요타 시절
1987년 랠리 경력을 시작하여, 핀란드 국내 선수권과 WRC 스폿 참전을 통해 경력을 쌓았다. 1990년 고향 1000호수 랠리에 워크스에서 나온 토요타 셀리카 (ST165)로 출전하며 토요타와 인연을 맺었고, 1994년 1000호수 랠리에서 ST185 셀리카로 5위를 기록했다.[2]이후 토요타 캐스트롤 팀이나 그리포네와 같은 토요타 계열 개인 팀, 미쓰비시, 세아트 등에서 WRC에 스폿 참전했지만, 개인 팀의 한계로 테스트와 경험 부족으로 인해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핀란드 국내 선수권에서는 1991년, 1994년, 1996년, 1997년, 1998년 챔피언에 오르며 최강자로 군림했다.
연도 | 타이틀 | 차량 |
---|---|---|
1991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4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6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7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토요타 셀리카 |
1998년 | 핀란드 국내 선수권 | 코롤라 WRC |
2. 2. 푸조 시절 (1999-2005)
1999년, 그뢴홀름은 푸조와 계약을 맺고 푸조 206 WRC로 랠리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00년과 2002년에 WRC 챔피언에 등극했다. 2000년에는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엔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스웨덴 랠리에서 첫 승을 거두었고, 이후 여러 차례 우승하며 시즌 챔피언이 되었다. 2002년에는 더욱 압도적인 성적으로 두 번째 챔피언 타이틀을 차지했다.2003년부터는 푸조 307 WRC로 차량을 변경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에는 차량 노후화, 2004년에는 307 WRC의 변속기와 파워 스티어링 문제, 2005년에는 타이어 변경과 팀 동료의 사고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며 챔피언십 경쟁에서 멀어졌다. 특히 2004년 터키 랠리에서는 경기 도중 조수 티모 라우티아이넨이 좌석을 관통한 강철 파편에 맞아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4][5] 2005년 시즌을 끝으로 푸조는 WRC에서 철수했고, 그뢴홀름은 새로운 팀을 찾아야 했다.
2. 2. 1. 2000년: 첫 번째 WRC 타이틀

2000년,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엔진 고장으로 고전했지만, 다음 달 스웨덴 랠리에서 푸조 206 WRC를 타고 첫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여러 차례 우승을 거두었고, 특히 홈 라운드인 핀란드 랠리에서 우승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영국 랠리에서 스바루의 리처드 번스에게 2위를 내주었지만, 결국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3]
2. 2. 2. 2001-2002년: 두 번째 타이틀을 향한 여정
2001년 그뢴홀름은 다양한 기계적 문제로 인해 챔피언십 방어에 실패하고 포인트 순위에서 4위에 머물렀다.[3] 그러나 2002년에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3]2002년에 그뢴홀름은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에서 우승하여 ''앙리 토이보넨 기념 트로피''를 받고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라는 칭호를 얻었다.[7]
2. 2. 3. 2003-2005년: 307 WRC와 어려움
2003년 푸조는 206을 유지했지만, 4년이나 된 모델이었기 때문에 노후함을 드러냈다. 그뢴홀름은 스웨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에서 3번 우승하며 선전했다.[3] 그러나 그리스에서 연료 압력 문제, 키프로스에서 프로펠러 샤프트 파손, 독일, 핀란드, 호주, 이탈리아에서 사고가 발생하며 챔피언십 경쟁에서 멀어졌다.[3] 결국 46점으로 6위에 머물렀다.[3]2004년 푸조는 206을 대체하는 새로운 307을 도입했지만, 변속기와 파워 스티어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4] 그뢴홀름은 몬테카를로, 스웨덴, 멕시코에서 계속된 문제 발생에 "이 차에 질렸다"라고 말했다.[4] 키프로스에서 307의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 불법 워터 펌프 사용으로 실격되었다.[4] 터키에서는 조수 라우티아이넨이 좌석을 관통한 강철 막대에 맞아 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4][5] 핀란드에서 변속기 문제에도 불구하고 시즌 첫 승을 기록했지만, 독일에서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 충돌했다.[4] 스페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5위로 마감했다.[4]
2005년 푸조는 미쉐린에서 피렐리 타이어로 전환했고, 그뢴홀름은 마르코 마르틴을 새 팀 동료로 맞이했다.[5] 모나코와 스웨덴에서 충돌로 시작했지만, 멕시코와 뉴질랜드에서 2위를 차지했다.[5] 이탈리아에서 3위를 기록하고, 키프로스에서 은퇴 후 터키에서 다시 3위를 차지했다.[5] 핀란드와 일본에서 우승했지만, 일본 경기는 마르틴의 조수 미하엘 파크가 사망한 지 일주일 만에 열려 복잡한 감정을 남겼다.[5] 프랑스, 스페인, 호주에서 은퇴하며 시즌을 3위로 마쳤고, 푸조는 챔피언십에서 철수했다.[5]
2. 3. 포드 시절 (2006-2007)
푸조가 2005년을 마지막으로 WRC에서 철수하면서, 2006년부터 포드로 이적했다.[3][4][5] 2006년 시즌은 개막 2연승으로 순조롭게 시작했지만, 라이벌 로브와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로브는 개인 부상으로 시즌 후반에 결장했지만, 그뢴홀름은 1점 차로 종합 2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팀 동료 미코 히르보넨과 함께 포드의 27년 만의 제조사 타이틀 획득에 기여했다. 포커스의 신뢰성은 다소 부족했지만, 그뢴홀름은 여러 랠리에서 로브를 능가하는 주행을 보였고, 특히 로브가 강세를 보이던 타막(포장도로) 랠리에서도 대등하게 경쟁하며 로브를 긴장시켰다.2007년은 그뢴홀름의 은퇴 시즌으로, 라이벌 로브와 더욱 격렬하게 경쟁했다. 시즌 초반에는 그뢴홀름이 선두였으나, 중반에는 로브가 앞섰다. 뉴질랜드 랠리에서 0.3초 차로 로브를 꺾는 명승부를 펼쳤지만, 시즌 막판까지 이어진 챔피언 경쟁에서 결국 4점 차로 로브에게 드라이버 챔피언 자리를 내주고 2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은퇴했다.
2. 3. 1. 2006년: 로브와의 경쟁, 제조사 타이틀 획득
2005년을 마지막으로 푸조가 WRC에서 철수를 결정함에 따라, 2006년부터 포드로 이적했다.[3][4][5]2006년 시즌은 개막 2연승 (랠리 오토모빌 몬테카를로, 스웨덴 랠리)을 달성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라이벌 로브는 꾸준히 우승 또는 2위를 기록하며 그뢴홀름을 압박했다. 로브가 개인적인 부상으로 시즌 후반에 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뢴홀름은 1점 차이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2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팀 동료 미코 히르보넨과 함께 포드의 27년 만의 제조사 타이틀 획득에 기여했다.
이 해에는 포커스의 신뢰성이 다소 부족했지만, 그뢴홀름은 여러 랠리에서 로브를 능가하는 주행을 선보였다. 특히 로브가 강세를 보이던 타막(포장도로) 랠리에서도 대등한 경쟁을 펼치며 로브를 긴장시켰다.
# | 행사 | 시즌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
19 | 랠리 오토모빌 몬테카를로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0 | 스웨덴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1 | 아크로폴리스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2 | 핀란드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3 | 터키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4 | 뉴질랜드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5 | 웨일스 랠리 GB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 3. 2. 2007년: 은퇴 시즌, 마지막 타이틀 도전
2007년은 그뢴홀름이 은퇴를 결정하고 참가한 마지막 시즌이었다. 이 해에는 라이벌 로브와 아슬아슬한 경쟁을 펼쳤다. 제2전 스웨덴 랠리에서 우승하며 포인트 랭킹 1위에 올랐지만, 제4전부터 로브에게 3연승을 허용하여 2위로 밀려났다.[3][4][5] 그러나 제7전 이탈리아에서 로브의 실수로 우승을 차지했고, 아크로폴리스, 핀란드에서도 연승하여 다시 랭킹 1위를 탈환했다. 제11전 뉴질랜드 랠리에서는 단 '''0.3초''' 차이로 로브를 꺾고 시즌 5승을 기록했다. 제15전 일본 랠리는 각 제조사의 에이스 드라이버가 잇따라 리타이어하는 서바이벌 레이스가 되었지만, 그뢴홀름과 로브 모두 리타이어 후 챔피언 획득을 포기하는 듯한 발언을 남겼다. 2전을 남기고 4점의 리드를 얻었지만, 아일랜드에서 2전 연속 리타이어를 기록하며 오히려 6점 차이로 벌어졌다. 4년 만에 타이틀 경쟁이 최종전까지 이어졌지만 이것이 치명타가 되어, 최종전에서 로브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지만 4점 차이로 패했다. 결국, 은퇴 년도에 챔피언이 되지는 못하고 드라이버즈 타이틀 2위로 시즌을 마쳤다.[3][4][5]WRC 스케줄 변경을 예상하여 포드와는 2008년 중반까지 계약을 맺고 있었지만, 스케줄이 기존대로 연내에 완료된다는 결정과, 아직 이길 수 있을 때 현역에서 은퇴하고 싶다는 그뢴홀름의 강한 의향에 따라 계약을 해지하고 은퇴했다. 오랜 파트너인 티모 라우티아이넨도 동시에 은퇴했다.[3][4][5]
2. 4. WRC 은퇴 이후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2007년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WRC)에서 은퇴한 이후에도 여러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활동했다.2008년 유럽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ERC)에서 포드 피에스타 ST로 5위를 차지했고,[13] 2009년부터 글로벌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GRC)에 참가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미국 GRC에서 태너 파우스트와 함께 포드 피에스타 Mk7로 출전했으며, 엑스 게임즈 17과 18에도 참가했다.
2009년 프로드라이브의 스바루 차량으로 랠리 포르투갈에 스폿 참전하며 WRC에 복귀했고,[13] 2019년에는 50세 생일을 기념하여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의 지원을 받아 토요타 야리스 WRC로 스웨덴 랠리에 일회성으로 참가했다.[1]
2014년 8월에는 폭스바겐의 폭스바겐 폴로 테스트 드라이버로 계약했다.
2. 4. 1. 랠리크로스 및 기타 활동
2008년, 그뢴홀름은 노르웨이에서 열린 유럽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ERC)에 참가하여 포드 피에스타 ST 랠리크로스 차량으로 5위를 차지했다. 이 차량은 560마력(418kW, 568PS) 이상의 출력을 내고 2.4초 만에 0-100km/h 가속이 가능했다. 2009년에는 글로벌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GRC)에 참가했고, 2011년에는 베스트 랩 모터스포츠에서 제작한 530마력의 포드 피에스타 Mk7로 미국에서 열린 GRC에 참가했다. 2012년에도 같은 팀, 같은 차량으로 GRC에 참가하여 2011년 챔피언 태너 파우스트와 팀 동료가 되었다.그뢴홀름은 2011년과 2012년 엑스 게임즈 17과 18에 출전했다. 2011년에는 마커스 그뢴홀름과 태너 파우스트가 포드 피에스타로 출전했다. 2012년에는 세바스티앵 로브가 시트로엥으로, 그뢴홀름은 포드로 출전했다.
2014년 8월, 그뢴홀름은 폭스바겐과 폭스바겐 폴로의 테스트 드라이버 계약을 체결했다.
2. 4. 2. WRC 복귀 시도
2007년 WRC에서 은퇴한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2009년에 스바루를 통해 WRC에 복귀하려 했다.[13] 이 계획은 프로드라이브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었다.[13] 그뢴홀름은 2009년 프로드라이브에서 랠리 포르투갈에 스폿 참전하여 복귀전을 치렀으나, 좋은 성적을 내지는 못했다.[13]2. 4. 3. 2019년: 토요타 야리스 WRC로의 일회성 복귀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2019년에 50세 생일을 기념하여 토요타 야리스 WRC로 WRC에 일회성 복귀를 했다. 그는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여,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의 지원을 받았다.[1] 그뢴홀름은 2019년 스웨덴 랠리에 출전하여 슈퍼 스페셜 스테이지(SS)에서 세바스티앵 로브와 맞대결을 펼쳤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1]3. 인물 및 기타 정보
마르쿠스 그뢴홀름은 과묵하지만 감정 표현이 풍부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307 WRC에 대한 불만을 "이 차에는 이제 질렸어(Im' fed up with this car!)"라는 강렬한 독설로 표현한 일화는 유명하다.[20]
현역 시절 193cm의 큰 키로 WRC에서 가장 키가 큰 드라이버였다.
해외에서는 "Bosse"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며, 일본에서는 주로 '마르쿠스'라고 불렸다. 푸조 시절의 활약과 험난했던 경력 덕분에 일본에서도 많은 팬을 확보했으며, 포드 이적 후에도 인기는 여전했다.
3. 1. 가족 및 사생활
그뢴홀름은 기혼이며 슬하에 세 자녀를 두고 있다. 장남 니클라스 그뢴홀름은 세계 랠리크로스 선수권 대회(WorldRX)에 참가하고 있으며, 아버지 마르쿠스는 2016년에는 매니저로,[21] 2017년에는 소속팀 GRX의 오너로서[22] 아들을 지원한다.티모 라우티아이넨은 그뢴홀름의 코-드라이버이다. 라우티아이넨은 그뢴홀름의 여동생과 결혼하였으므로, 연상임에도 불구하고 그뢴홀름의 의제(義弟)가 된다. 세바스티안 린드홀름은 그뢴홀름의 사촌으로, 핀란드 국내 선수권에서 8회 챔피언을 획득했으며, 스즈키 SX4 WRC와 푸조 307 WRC로 WRC에 스폿 참전했다.[2]
4. WRC 우승 기록
# | 행사 | 시즌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
1 | 스웨덴 랠리 | 2000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2 | 뉴질랜드 랠리 | 2000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3 | 핀란드 랠리 | 2000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4 | 오스트레일리아 랠리 | 2000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5 | 핀란드 랠리 | 2001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6 | 오스트레일리아 랠리 | 2001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7 | 영국 랠리 | 2001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8 | 스웨덴 랠리 | 2002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9 | 키프로스 랠리 | 2002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0 | 핀란드 랠리 | 2002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1 | 뉴질랜드 랠리 | 2002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2 | 오스트레일리아 랠리 | 2002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3 | 스웨덴 랠리 | 2003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4 | 뉴질랜드 랠리 | 2003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5 | 아르헨티나 랠리 | 2003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206 WRC |
16 | 핀란드 랠리 | 2004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307 WRC |
17 | 핀란드 랠리 | 2005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307 WRC |
18 | 일본 랠리 | 2005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푸조 307 WRC |
19 | 랠리 오토모빌 몬테카를로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0 | 스웨덴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1 | 아크로폴리스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2 | 핀란드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3 | 터키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4 | 뉴질랜드 랠리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5 | 웨일스 랠리 GB | 2006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6 | 스웨덴 랠리 | 2007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7 | 이탈리아 랠리 사르데냐 | 2007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8 | 아크로폴리스 랠리 | 2007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6 |
29 | 핀란드 랠리 | 2007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7 |
30 | 뉴질랜드 랠리 | 2007 | 티모 라우티아이넨 | 포드 포커스 RS WRC 07 |
5. 종합 전적
연도 | 대회 | 팀 | 순위 |
---|---|---|---|
2007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BP-포드 | 2위 |
2006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BP-포드 | 2위 |
2005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3위 |
2004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5위 |
2003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6위 |
2002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타이틀 획득 |
2001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4위 |
2000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 타이틀 획득 |
1999 | 월드 랠리 챔피언십 | 푸조, 세아트, 미쓰비시 | 스팟 참전 |
참조
[1]
뉴스
Marcus Gronholm back to WRC for Rally Sweden with a Toyota
https://www.autospor[...]
Motorsport Network
2019-01-15
[2]
웹사이트
Gronholm, the purring engine
http://scotlandonsun[...]
2007-09-15
[3]
웹사이트
Totuus "Up in the Ass of Timo" -videosta!
http://www.mtv.fi/vi[...]
2008-01-09
[4]
웹사이트
"Up in the ass of Timo" kertoo: Näin kivulias onnettomuus sattui
https://www.iltaleht[...]
[5]
웹사이트
Marcus Grönholmille naljaillaan edelleen "Up in the ass of Timo" -videosta – "En tiedä tykkääkö Timppa niin hirveästi"
https://www.is.fi/vi[...]
2016-01-08
[6]
웹사이트
Official: Gronholm confirms plans for post-2007
http://www.crash.net[...]
2007-09-15
[7]
웹사이트
Marcus Gronholm wins his debut rallycross event at Holjes in Sweden
http://rallybuzz.sta[...]
2008-07-31
[8]
웹사이트
Gronholm turns down WRC comeback
http://www.autosport[...]
2009-02-23
[9]
웹사이트
Gronholm return now unlikely
http://www.autosport[...]
2009-02-23
[10]
웹사이트
Marcus Gronholm to compete on Rally de Portugal 2009 in Prodrive Subaru Impreza WRC2009
http://www.rallybuzz[...]
2009-02-23
[11]
뉴스
Gronholm's crash in his own words
http://www.wrc.com/j[...]
wrc.com
2009-04-06
[12]
웹사이트
Grönholm to enter Rally Sweden
http://www.autosport[...]
Autosport website
2009-12-11
[13]
웹사이트
World Rally Championship – News – Gronholm to test for Mini
http://www.wrc.com/n[...]
Wrc.com
2010-09-03
[14]
웹사이트
Marcus & Timo
http://www.mgr.fi/ma[...]
2008-07-31
[15]
웹사이트
Näkökulma: Näistä syistä Amazing Race Suomi ei täyttänyt odotuksia
https://www.seiska.f[...]
2024-08-05
[16]
문서
フィンランド現地の発音に忠実な'''マルク(コ)ス・グレンホルム'''という表記を取る新聞もある。
[17]
문서
グロンホルム公式サイトの記述に基づく。資料によってはカウニアイネンやエスポーと記述されている。
[18]
서적
『WRC PLUS 2005 YEAR BOOK』P59
[19]
뉴스
グロンホルム、VWの正式テストドライバーに
http://rallyx.net/ne[...]
2014-08-12
[20]
웹사이트
GRONHOLM: 'I'M FED UP'
https://www.eurospor[...]
[21]
뉴스
グロンホルムJr.が世界RXにフル参戦、父もチームマネージャーに就任
http://www.rallyplus[...]
201-03-18
[22]
뉴스
グロンホルムJr、父のチームから世界RXフル参戦確定
http://www.rallyplus[...]
2017-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